CarbonZero
(CERO)

혁신적인 모빌리티 탄소크레딧 생태계

CarbonZero
(CERO)

혁신적인 모빌리티 탄소크레딧 생태계
모빌리티 탄소크레딧
'카본제로(CarbonZero)'

기후변화는 현실입니다. 기록적인 폭우, 치명적인 폭염, 걷잡을 수 없는 산불은 우리 일상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후위기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여전히 감축 목표에 훨씬 못 미치고 있습니다.


더 이상 미룰 수는 없습니다. 바로 지금이 기후위기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을 위해 우리가 노력하고, 행동하여야 할 때입니다.


카본제로(CarbonZero)는 탄소중립을 위해 혁신적인 모빌리티 탄소크레딧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가 만들어가는 탄소크레딧 생태계는 사용자에게 기후행동 실천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CarbonZero App

첫번째 기후행동 미션은 전기자동차 등록을 통한 탄소크레딧 지급 서비스입니다.


자신의 전기자동차 정보, 주행량, 충전 데이터 등을 CarbonZero App에 입력하여 탄소배출권 가치를 가상자산 CarbonZero(CERO)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개인의 전기자동차 등록을 통해 전기자동차당 매년 5만원(전기자동차 폐차시까지) 상당의 CERO를 탄소크레딧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탄소배출권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정책상 개인은 탄소배출권을 직접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탄소배출권NFT를 구매 및 거래할 수 있고, 해당 탄소배출권 시장가격과 1:1 패킹하여 서비스를 통해 NFT를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 탄소크레딧과 탄소배출권NFT : 외부인증실적 탄소배출권과 자발적 탄소배출권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기후행동 미션 수행과 전기자동차 데이터 입력(차량정보, 충전데이터 등)을 통해 '기후행동(Climate Action)'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앱 사용자는 ‘행동(Action)’을 통해 개별로 활동하거나 다른 카본제로(CarbonZero) 유저를 모집하여 그룹 ‘챌린지(Challenge)’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 앱을 통해 유저는 기후행동의 결과와 영향을 축적하고, 앱 안팎에서 친구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앱 사용자가 개별 ‘행동’과 그룹 ‘챌린지’를 수행하면 앱내(IN-APP)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기후행동 리워드 카본트리(CarbonTree)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또한 카본제로앱 사용자는 카본제로(CarbonZero) 커뮤니티의 다른 구성원들과 좋아요 및 댓글과 같은 반응(Reaction)을 요청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토리 기능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후행동에 대한 생각을 표현하고, 카본제로(CarbonZero) 커뮤니티 내에서 본인의 입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 생태계

ERC-20 가상자산 CarbonZero(CERO)는 모빌리티를 통해 탄소배출권 가치를 보상받을 수 있는 탄소크레딧 가상자산입니다.


법정화폐 및 기타 가상자산으로의 전환율은 외부 거래소의 시장 환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CERO는 카본제로앱 생태계에서 탄소배출권NFT를 구매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 CERO는 외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이기 때문에 시장가격은 시장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됩니다.

탄소배출권NFT

카본제로 앱 내의 마켓을 통해 탄소배출권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정책상 개인은 탄소배출권을 직접 소유할 수 없습니다.

탄소배출권NFT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간접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마켓을 통해 사용자들은 탄소배출권NFT를 구매 및 거래할 수 있고,

해당 탄소배출권 시장가격과 1:1 패킹하여 모비제로 서비스를 통해 NFT를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카본제로(CarbonZero, CERO) 구성비율

CarbonZero(CERO)는 총 발행량이 6억개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전체 6억개 중 5천만개로 모비제로 서비스 운영비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5억 5천만개는 탄소크레딧 리워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9일 기준 유통량은 118,283,807개입니다.


가상자산 CarbonZero (CERO) 활용 방안

CERO는 소유자에게 카본제로앱 생태계의 탄소배출권NFT 및 서비스 액세스 권한을 부여합니다.

카본제로팀은 생태계에서 제공될 탄소배출권NFT 및 서비스의 범위를 계속 확장할 예정입니다.

탄소크레딧 운영

㈜유아이네트웍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으로 모빌리티 솔루션, 빅데이터 솔루션, 챗봇 서비스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기반의 교통이용자의 수단별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탄소저감 대국민 실천서비스인 카본제로앱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주)유아이네트웍스는 90명의 개발자와 다양한 솔루션 개발역량을 바탕으로 국토교통부, 서울시, 인천시, 세종시, 대전시, 부천시, 안양시 등의 정부기관과 엘지씨엔에스, KT, 롯데정보통신, 티맥스소프트 등의 대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많은 IT시스템 구축사업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기업을 위해 탄소상쇄 크레딧 프로젝트를 자문하고, 관리하는 탄소크레딧(외부인증실적 탄소배출권,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카본제로팀은 ETS 규제시장 및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거래되는 인증된 탄소상쇄 크레딧의 매매 및 수익 창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린제품 구매

그린, 환경 친화적인 소비재를 생산하는 협력사와 연대하여 그린 소비재 전문 온라인 쇼핑몰을 구성할 계획입니다. CERO 보유자는 CERO를 활용하여 이러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인기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CERO 보유량과 연계하여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한, 또는 매력적인 가격 할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프로그램

스테이킹 프로그램은 카본제로 커뮤니티 구성원의 장기적인 CERO 보유를 장려하기 위해 운영됩니다. 우리는 스테이킹 프로그램에 스테이킹 이자율 또는 유사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 없습니다. 우리는 탄소배출권NFT와 같이 수요가 높은 고유한 제품 및 서비스를 일정량 이상의 CERO 보유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그린 프로젝트 기금 기부

큐레이션 한 그린 프로젝트에 원화가치 기준으로 기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그린 프로젝트는 지역사회 기반 재활용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기부자는 해당 프로젝트에 직접 기부하게 됩니다.

법정 통화 및 기타 가상자산으로의 교환

CERO는 법정화폐, 즉 원화로 교환할 수 있는 외부 가상자산 거래소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CERO는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과 같은 다른 가상자산으로도 교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CERO가 다수의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다양한 trading pair와 거래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모빌리티 탄소크레딧 '카본제로(CarbonZero)'

기후변화는 현실입니다. 기록적인 폭우, 치명적인 폭염, 걷잡을 수 없는 산불은 우리 일상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후위기에도 불구하고, 온실가스 배출량은 여전히 감축 목표에 훨씬 못 미치고 있습니다.


더 이상 미룰 수는 없습니다. 바로 지금이 기후위기 대응과 온실가스 감축, 탄소중립을 위해 우리가 노력하고, 행동하여야 할 때입니다.


카본제로(CarbonZero)는 탄소중립을 위해 혁신적인 모빌리티 탄소크레딧 생태계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가 만들어가는 탄소크레딧 생태계는 사용자에게 기후행동 실천을 위한 혁신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CarbonZero App

- 첫번째 기후행동 미션은 전기자동차 등록을 통한 탄소크레딧 지급 서비스입니다.


자신의 전기자동차 정보, 주행량, 충전 데이터 등을 CarbonZero App에 입력하여 탄소배출권 가치를 가상자산 CarbonZero(CERO)로 취득할 수 있습니다. 현재 개인의 전기자동차 등록을 통해 전기자동차당 매년 5만원(전기자동차 폐차시까지) 상당의 CERO를 탄소크레딧으로 지급하고 있습니다.


탄소배출권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정책상 개인은 탄소배출권을 직접 소유할 수 없기 때문에 탄소배출NFT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간접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카본제로앱 마켓을 통해 탄소배출권NFT를 구매 및 거래할 수 있고, 해당 탄소배출권 시장가격과 1:1 패킹하여 서비스를 통해 NFT를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 탄소크레딧과 탄소배출권NFT : 외부인증실적 탄소배출권과 자발적 탄소배출권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카본제로(CarbonZero)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다양한 기후행동 미션 수행과 전기자동차 데이터 입력(차량정보, 충전데이터 등)을 통해 '기후행동(Climate Action)'을 실천할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앱 사용자는 ‘행동(Action)’을 통해 개별로 활동하거나 다른 카본제로(CarbonZero) 유저를 모집하여 그룹 ‘챌린지(Challenge)’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 앱을 통해 유저는 기후행동의 결과와 영향을 축적하고, 앱 안팎에서 친구와 공유할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앱 사용자가 개별 ‘행동’과 그룹 ‘챌린지’를 수행하면 앱내(IN-APP) 경제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기후행동 리워드 카본트리(CarbonTree) 포인트가 적립됩니다.

또한 카본제로앱 사용자는 카본제로(CarbonZero) 커뮤니티의 다른 구성원들과 좋아요 및 댓글과 같은 반응(Reaction)을 요청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토리 기능을 사용하여 자신의 기후행동에 대한 생각을 표현하고, 카본제로(CarbonZero) 커뮤니티 내에서 본인의 입지를 높일 수 있습니다.

카본제로(CarbonZero) 생태계

ERC-20 가상자산 CarbonZero(CERO)는 모빌리티를 통해 탄소배출권 가치를 보상받을 수 있는 탄소크레딧 가상자산입니다.


법정화폐 및 기타 가상자산으로의 전환율은 외부 거래소의 시장 환율에 따라 결정됩니다.

CERO는 카본제로앱 생태계에서 탄소배출권NFT를 구매하는 수단으로 사용됩니다.


* CERO는 외부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이기 때문에 시장가격은 시장수요와 공급에 따라 변동됩니다.

탄소배출권NFT

카본제로 앱 내의 마켓을 통해 탄소배출권NFT를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정책상 개인은 탄소배출권을 직접 소유할 수 없습니다.

탄소배출권NFT를 통해 탄소배출권을 간접적으로 보유할 수 있게 됩니다.

마켓을 통해 사용자들은 탄소배출권NFT를 구매 및 거래할 수 있고,

해당 탄소배출권 시장가격과 1:1 패킹하여 서비스를 통해 NFT를 현금화할 수 있습니다.

가산자산 카본제로(CarbonZero, CERO) 구성비율

CarbonZero(CERO)는 총 발행량이 6억개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전체 6억개 중 5천만개는 서비스 운영비용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나머지 5억 5천만개는 탄소크레딧 리워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3년 5월 9일 기준 유통량은 118,283,807개입니다.

가상자산 CarbonZero(CERO) 활용 방안

CERO는 소유자에게 카본제로앱 생태계의 탄소배출권NFT 및 서비스 액세스 권한을 부여합니다.

카본제로팀은 생태계에서 제공될 탄소배출권NFT 및 서비스의 범위를 계속 확장할 예정입니다.

탄소크레딧 운영


㈜유아이네트웍스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기업으로 모빌리티 솔루션, 빅데이터 솔루션, 챗봇 서비스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기반의 교통이용자의 수단별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탄소저감 대국민 실천서비스인 카본제로앱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유아이네트웍스는 90명의 개발자와 다양한 솔루션 개발역량을 바탕으로 국토교통부, 서울시, 인천시, 세종시, 대전시, 부천시, 안양시 등의 정부기관과 엘지씨엔에스, KT, 롯데정보통신, 티맥스소프트 등의 대기업과 파트너쉽을 통해 많은 IT시스템 구축사업에 협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이니셔티브를 추진하는 기업을 위해 탄소상쇄 크레딧 프로젝트를 자문하고, 관리하는 탄소크레딧(외부인증실적 탄소배출권, 자발적 탄소배출권)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서 카본제로팀은 ETS 규제시장 및 자발적 탄소배출권 시장에서 거래되는 인증된 탄소상쇄 크레딧의 매매 및 수익 창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린제품 구매


그린, 환경 친화적인 소비재를 생산하는 협력사와 연대하여 그린 소비재 전문 온라인 쇼핑몰을 구성할 계획입니다. CERO 보유자는 CERO를 활용하여 이러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인기 있는 제품에 대해서는 이용자의 CERO 보유량과 연계하여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권한, 또는 매력적인 가격 할인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프로그램


스테이킹 프로그램은 카본제로 커뮤니티 구성원의 장기적인 CERO 보유를 장려하기 위해 운영됩니다. 우리는 스테이킹 프로그램에 스테이킹 이자율 또는 유사한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이 없습니다. 우리는 탄소배출권NFT와 같이 수요가 높은 고유한 제품 및 서비스를 일정량 이상의 CERO 보유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둘 것입니다.

그린 프로젝트 기금 기부


큐레이션 한 그린 프로젝트에 원화가치 기준으로 기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그린 프로젝트는 지역사회 기반 재활용 프로젝트부터 대규모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합니다. 기부자는 해당 프로젝트에 직접 기부하게 됩니다.


법정 통화 및 기타 가상자산으로의 교환


CERO는 법정화폐, 즉 원화로 교환할 수 있는 외부 가상자산 거래소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CERO는 비트코인 및 이더리움과 같은 다른 가상자산으로도 교환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CERO가 다수의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다양한 trading pair와 거래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